부트스트랩(Bootstrap)은 트위터에서 만든 오픈 소스 CSS 프레임워크로, 웹 개발을 보다 쉽고 빠르게 만들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부트스트랩은 반응형 웹 디자인, 풍부한 UI 컴포넌트, 그리드 시스템 등을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효율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부트스트랩의 특징

  1. 반응형 웹 디자인
    부트스트랩은 모바일 기기에서부터 데스크톱까지 다양한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이는 개발자가 별도의 CSS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도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웹 페이지가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풍부한 UI 컴포넌트
    부트스트랩은 버튼, 폼 컨트롤, 카드, 네비게이션 바, 모달 등과 같은 다양한 UI 컴포넌트를 제공하여 개발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의 시각적인 요소를 간편하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3. 그리드 시스템
    부트스트랩은 강력한 그리드 시스템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그 시스템을 활용하면 컨텐츠를 쉽게 정렬하고 배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을 쉡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부트스트랩의 사용법

부트스트랩을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부트스트랩의 CSS 및 JavaScript 파일을 웹 페이지에 포함시키고, 제공되는 클래스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구성하면 됩니다

또한 부트스트랩의 공식 문서와 예제를 활용하여 더욱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간단한 예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부트스트랩 예제</title>
    <link href="https://stackpath.bootstrapcdn.com/bootstrap/4.5.2/css/bootstrap.min.css" rel="stylesheet">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h1>부트스트랩을 활용한 웹 페이지</h1>
        <p>부트스트랩은 웹 개발을 더 쉽고 빠르게 만들어줍니다.</p>
        <button class="btn btn-primary">버튼</button>
    </div>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5.1.slim.min.js"></script>
    <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popperjs/core@2.5.3/dist/umd/popper.min.js"></script>
    <script src="https://stackpath.bootstrapcdn.com/bootstrap/4.5.2/js/bootstrap.min.js"></script>
</body>
</html>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입니다

웹 개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언어로, HTML을 사용하여 텍스트, 이미지, 링크 등의 요소를 구성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HTML은 웹 브라우저에게 페이지의 구조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HTML의 기본 구조

HTML은 요소(Elements), 속성(Attributes), 값(Values), 콘텐츠(Contents)로 구성됩니다

  • 요소(Elements)
    HTML 문서의 구성 요소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p>`, `<h1>`, `<a>`, `<img>` 등이 있습니다
  • 속성(Attribute)
    HTML 요소의 추가 정보를 제공합니다
    속성은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설정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링크의 URL이나 이미지의 소스를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 값(Values)
    속성에 할당되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a>` 요소의 `href` 속성에는 링크의 URL이 값으로 할당됩니다
  • 콘텐츠(Contents)
    HTML 요소 내에 포함되는 실제 내용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p>` 요소의 경우 단락의 텍스트가 콘텐츠에 해당합니다
<태그 속성="값">콘텐츠</태그>

 

 

HTML 문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구조를 갖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문서 제목</title>
</head>
<body>
    <!-- 웹 페이지의 내용 -->
</body>
</html>
  • <!DOCTYPE html>
    문서 유형을 정의하는 선언으로, HTML5 문서임을 나타냅니다
  • <html>
    HTML 문서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요소로, 모든 HTML 요소를 포함합니다
  • <head>
    웹 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요소로, 페이지 제목, 스타일 시트 링크, 스크립트 등을 포함합니다
  • <meta>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요소로, 문자 인코딩 및 뷰포트 설정 등을 지정합니다
  • <title>
    웹 페이지의 제목을 정의하는 요소입니다
  • <body>
    웹 페이지의 본문을 정의하는 요소로, 텍스트, 이미지, 링크 등의 실제 내용을 포함합니다

 1. Universal Selector (전체 선택자)

전체 선택자는 HTML 문서 내의 모든 요소를 선택합니다

즉, 모든 요소에 동일한 스타일을 적용하려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모든 요소의 글꼴을 Arial로 설정하고 여백을 0으로 만들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 {
    font-family: Arial;
    margin: 0;
    padding: 0;
}

 

2. Type Selector (타입 선택자)

타입 선택자는 HTML 요소의 유형을 선택합니다

특정 태그의 모든 인스턴스에 스타일을 적용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h1>` 태그에 대해 글꼴 크기를 24px로 설정하고 색상을 파란색으로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h1 {
    font-size: 24px;
    color: blue;
}

 

3. Class Selector (클래스 선택자)

클래스 선택자는 HTML 요소의 클래스를 선택합니다

여러 요소에 동일한 스타일을 적용하려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클래스가 "highlight"인 모든 요소에 대해 배경색을 노란색으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highlight {
    background-color: yellow;
}

 

4. ID Selector (아이디 선택자)

아이디 선택자는 HTML 요소의 고유한 아이디를 선택합니다

페이지 내에서 특정 요소에 고유한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디가 "header"인 요소에 대해 배경색을 회색으로 설정하고 글꼴을 굵게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header {
    background-color: gray;
    font-weight: bold;
}

 

5. Attribute Selector (속성 선택자)

속성 선택자는 특정 HTML 요소의 속성을 선택합니다

특정 속성을 가진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arget="_blank"` 속성을 가진 모든 링크에 대해 글꼴 색상을 빨간색으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a[target="_blank"] {
    color: red;
}

 

6. Descendant Selector (하위 선택자)

하위 선택자는 특정 요소의 하위 요소를 선택합니다

부모 요소와 하위 요소는 공백으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div>` 요소 내부에 있는 모든 `<p>` 요소에 대해 특정 스타일을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div p {
    /* 스타일 적용 */
}

 

7. Child Selector (자식 선택자)

자식 선택자는 특정 요소의 직계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부모 요소와 자식 요소는 `>` 기호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div>`의 직계 자식인 `<p>` 요소에 대해 스타일을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div > p {
    /* 스타일 적용 */
}

 

8. Adjacent Sibling Selector (인접 형제 선택자)

인접 형제 선택자는 특정 요소의 바로 뒤에 나오는 형제 요소를 선택합니다

두 요소는 같은 부모를 가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h2>` 바로 뒤에 나오는 `<p>` 요소에 대해 스타일을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h2 + p {
    /* 스타일 적용 */
}

 

9. General Sibling Selector (일반 형제 선택자)

일반 형제 선택자는 특정 요소 뒤에 나오는 모든 형제 요소를 선택합니다

형제 요소는 `~` 기호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h2>` 뒤에 나오는 모든 `<p>` ㅛㅇ소에 대해 스타일을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h2 ~ p {
    /* 스타일 적용 */
}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웹 페이지의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정의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HTML이 웹 페이지의 내용을 구조화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CSS는 이러한 구조에 시각적인 스타일을 적용하여 웹 페이지를 디자인하고 꾸밀 수 있습니다

CSS의 기본 구조

CSS는 일련의 규칙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규칙은 선택자(selector), 속성(property), 값(value)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택자는 스타일을 적용할 HTML 요소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며, 속성은 선택한 요소의 스타일을 지정하고 값은 해당 속성에 적용할 스타일의 값을 나타냅니다

선택자 {
  속성: 값;
}

 

예를 들어, 모든 `<h1>` 요소의 글꼴 색상을 빨간색으로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h1 {
  color: red;
}

 

CSS의 적용 방법

CSS는 웹 페이지에서 3가지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1. 내부 스타일 시트(Internal Style Sheet)

HTML 문서 안에 `<style>` 태그를 사용하여 CSS를 포함시키는 방법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style>
        h1 {
            color: red;
        }
    </style>
</head>
<body>
    <h1>Hello, CSS!</h1>
</body>
</html>

 

2. 외부 스타일 시트(External Style Sheet)

별도의 CSS 파일을 만들고 HTML 문서에서 이를 참조하는 방법입니다

<!-- style.css -->
h1 {
    color: red;
}
<!-- index.html -->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head>
<body>
    <h1>Hello, CSS!</h1>
</body>
</html>

 

3. 인라인 스타일(Inline Style)

HTML 요소의 `style` 속성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스타일을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 style="color: red;">Hello, CSS!</h1>
</body>
</html>

 

CSS의 주요 속성

CSS는 다양한 속성을 제공하여 웹 페이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스타일링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주요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lor : 텍스트의 색상 지정
  • font-family : 글꼴 지정
  • font-size : 글꼴 크기 지정
  • background-color : 배경 색상 지정
  • margin, paddin : 요소의 외부 여백 및 내부 여백 지정
  • border : 테두리 스타일 및 크기 지정
  • width, height : 요소의 너비와 높이 지정

CSS의 상속과 우선 순위

CSS는 상속을 지원합니다

이는 부모 요소의 스타일이 자식 요소에게 상속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모든 속성이 상속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속성은 상속되지 않거나 초기 값으로 설정됩니다

 

CSS 규칙이 충돌하는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인라인 스타일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 그 다음이 ID 선택자, 클래스 선택자, 태그 선택자, 일반 선택자 순서로 우선 순위가 낮아집니다

어노테이션의 기본 개념

어노테이션은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의 메타데이터의 한 형태로,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어노테이션은 소스 코드에 추가되어 특정 작업을 지정하거나 설명할 수 있다

주석과는 달리 컴파일러나 런타임에 의미를 전달하며, 프로그램 코드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코드를 더욱 유연하고 강력하게 만든다

어노테이션의 원리

어노테이션은 `@` 기호를 사용하여 선언되며, 자바의 메타 어노테이션과 사용자 정의 어노테이션으로 나뉜다

메타 어노테이션은 다른 어노테이션을 설명하거나 제한하는데 사용되고, 사용자 정의 어노테이션은 개발자가 직접 정의하여 사용한다

 

Spring Boot에서의 어노테이션은 주로 메타 어노테이션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Spring Boot의 어노테이션들은 스프링의 컴포넌트 스캔, 의존성 주입, 프로퍼티 로딩 등과 같은 기능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Spring Boot 어노테이션의 예시

  • @SpringBootApplication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의 진입점을 지정하고, 스프링 부트의 자동 구성을 활성화한다
  • @RestController
    RESTful 웹 서비스의 컨트롤러를 정의한다
  • @RequestMapping
    요청 URL과 컨트롤러 메서드를 매핑하여 요청을 처리한다
  • @Autowired
    의존성 주입을 자동으로 처리한다
  • @Value
    프로퍼티 값을 주입받는다

'-- Web -- > Spring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View Resolver란?  (0) 2024.04.12
[Spring] applicationContext.xml란?  (0) 2024.03.15

config 파일

  1. 특징
    설정 값들을 특정 형식의 파일에 저장하는 방식
    주로 프로퍼티 파일(.properties), YAML 파일(.yml), JSON 파일(.json) 등을 사용한다
  2. 장점
    관리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 설정 값들을 하나의 파일에 모아두기 때문에 코드와 분리되어 있어 변경이 쉽다
    배포와 환경 전환이 간편하다. 다른 환경으로의 전환 시 파일만 변경하면 되므로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다
  3. 단점
    보안에 취약하다.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평문으로 저장하므로 노출될 경우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DB

  1. 특징
    설정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
    주로 관리자 설정, 시스템 설정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2. 장점
    보안이 강화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접근 제어와 암호화 등의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다
    확장성이 높다.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여러 서비스에서 공유하기 용이하다
  3. 단점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DB 조회 시 시간이 소요되므로 설정 값의 빈번한 참조는 성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 연결, 트랜잭션 관리 등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arg 변수로 입력

  1. 특징
    프로그램 실행 시 인자로 설정 값을 전달하는 방식
    명령행 인터페이스(CLI) 또는 실행 환경에서 직접 입력받는다
  2. 장점
    간편하다. 설정 값을 변경하려면 프로그램을 다시 빌드할 필요 없이 인자를 변경하면 된다
    테스트에 용이하다. 다양한 설정 값을 쉽게 시뮬레이션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
  3. 단점
    관리가 어렵다. 실행할 때마다 설정 값을 일일히 입력해야 하므로 실수가 발생할 수 있다
    보안에 취약하다. 민감한 정보가 명령행에 노출될 수 있어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환경변수

  1. 특징
    운영 체제 또는 실행 환경에 설정되어 있는 값
    주로 운영 시스템이나 컨테이너에서 설정한다
  2. 장점
    보안에 용이하다. 환경변수는 보안에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확장성이 좋다. 환경변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설정 값을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3. 단점
    관리가 어렵다. 많은 환경변수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변경하기 어렵다. 일반 사용자는 환경변수를 직접 수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코드에 작성

  1. 특징
    설정 값을 코드 내에 하드코딩하는 방식
    직접 코드를 수정하여 설정 값을 변경한다
  2. 장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설정 값을 변경할 필요 없이 코드를 수정하여 즉시 적용할 수 있다
    파일 또는 DB와 같은 외부 의존성이 없다
  3. 단점
    유지보수가 어렵다. 설정 값이 코드에 하드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변경이 필요할 때마다 코드를 수정해야 한다
    배포와 관리가 번거롭다. 설정 값이 코드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변경 시 프로그램을 재배포해야 한다

Spring 프레임워크에서는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를 관리합니다

이 파일은 Spring 컨테이너가 애플리케이션의 객체들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설정들을 정의합니다

특징

  • Bean 정의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Bean 객체들의 정의를 할 수 있습니다
    Bean 객체들의 이름, 클래스, 의존 관계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의존성 주입 설정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에서는 Bean들 간의 의존성을 주입하는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합니다
  • 프로퍼티 설정
    Bean 객체들의 프로퍼티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객체 초기화 시 필요한 값들을 외부에서 주입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설정의 중앙 집중화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를 한 곳에 집중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유지보수성을 높여줍니다
  • 의존성 관리 용이성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에서 의존성을 관리하면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출 수 있어 유연한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환경에 따른 설정 분리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을 통해 환경에 따라 다른 설정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 환경, 테스트 환경, 운영 환경 등에 따라 다른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점

  • XML 기반 설정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을 XML 기반으로 작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정이 복잡해질 경우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리팩토링의 어려움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의 설정이 복잡해지면 리팩토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큰 규모의 프로젝트에서는 설정의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런타임 오류 발생 가능성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의 설정이 잘못되면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을 신중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SCSS란 무엇인가요?

SCSS는 CSS의 전처리기입니다

SCSS는 CSS의 문법을 따르면서도 변수, 중첩 규칙, 믹스인, 상속 등의 기능을 추가하여 CSS 코드를 더욱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SCSS 파일은 `.scss` 확장자를 가지며, CSS로 컴파일됩니다

 

SCSS의 주요 기능

  • 변수 사용
    SCSS에서는 변수를 사용하여 색상, 폰트, 여백 등과 같은 값들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듭니다
  • 중첩 규칙
    CSS에서는 요소들을 스타일링하기 위해 계층적인 구조를 반복해서 작성해야 합니다
    그러나 SCSS에서는 중첩된 규칙을 사용하여 보다 간결하고 직관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믹스인과 상속
    믹스인은 스타일을 재사용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SCSS에서는 믹스인을 활용하여 반복되는 스타일 코드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상속을 통해 부모 요소의 스타일을 자식 요소에 적용할 수 있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입니다
  • 조건문과 반복문
    SCSS에서는 조건문과 반복문을 사용하여 동적인 스타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고,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SCSS의 사용 사례

SCSS는 다양한 웹 개발 프로젝트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큰 규모의 프로젝트에서는 SCSS를 사용하여 코드의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인 React, Vue.js 등과의 통합도 용이하여 현대적인 웹 개발에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객체 간의 결합을 최소화하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의존성 주입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의존성 주입이란?

의존성 주입은 객체 간의 의존성을 외부에서 제공되는 방식으로 주입하는 걸 의미합니다

이는 객체가 직접 의존하는 객체를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대신 외부에서 의존성을 주입받아 사용함으로써 결합도를 낮추고 재사용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높입니다

종류

  •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
    생성자 주입은 의존성을 객체 생성 시에 생성자를 통해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객체가 생성될 때 의존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표현합니다
    주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로, 객체의 생성과 의존성 주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세터 주입(Setter Injection)
    세터 주입은 객체의 세터 메서드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생성자 주입과 달리 객체 생성 이후에 의존성을 주입받을 수 있습니다
    주로 선택적인 의존성을 가지는 경우나 런타임에 의존성이 변경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인터페이스 주입(Interface Injection)
    인터페이스 주입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의존성 주입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1. 결합도 감소
    객체가 직접 의존성을 생성하거나 참조하지 않고 외부에서 주입받기 때문에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2. 유연성 향상
    의존성이 외부에서 주입되므로 런타임에 다른 의존성을 주입하여 동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테스트 용이성
    의존성을 주입하여 모의 객체(mock object)를 사용하여 테스트하기 쉽습니다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spect-Oriented Programming, AOP)은 프로그래밍에서 다양한 관점을 분리하여 모듈화하고, 각 과점에 맞게 모듈을 조합하는 것을 강조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이것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반복되는 공통 관심사(예: 로깅, 트랜잭션 관리, 보안 등)을 캡슐화하고 분리함으로써 코드의 가독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향상시킵니다

핵심 개념

  • 관점(Aspect)
    관점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여러 작업들의 모듈화된 관심사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로깅은 하나의 관점일 수 있습니다
  • 조인 포인트(Join Point)
    관점이 적용된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의 특정 지점을 가리킵니다
    메서드 호출, 예외 발생 등이 조인 포인트의 예시입니다
  • 어드바이스(Advice)
    관점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어드바이스는 조인 포인트에서 실행되는 코드 조각으로, 예를 들어 특정 메서드 호출 이전에 로그를 출력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컷(Pointcut)
    어떤 조인 포인트에 어드바이스를 적용할지를 결정하는 규칙입니다
    이는 특정 메서드 호출이나 패키지 내의 모든 클래스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의 장점

  1. 모듈화와 재사용성
    공통 관심사를 분리함으로써 모듈화되어 코드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킵니다
  2.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각 관점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킵니다
    예를 들어, 로깅 관점은 각 메서드에 로그 출력 코드를 추가하는 대신 로깅 관점만 수정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비즈니스 로직 분리
    핵심 비즈니스 로직과 다양한 관점(예: 보안, 트랜잭션 관리)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Java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POJO(Plain Old Java Objec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OJO는 간단하고 가벼운 객체를 의미하며, Java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더 효율적이고 유지보수가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POJO란 무엇인가?

POJO는 "Plain Old Java Object"의 약어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특별한 제약이나 규약이 없는 순수한 자바 클래스를 나타냅니다

이는 특정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에 종속되지 않고, 자바의 기본 기능만으로 정의된 객체입니다

 

POJO의 특징

  1. 기본적인 자바 클래스 구조
    POJO는 일반적인 자바 클래스로, 특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특정 클래스를 상속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2. 게터(Getter)와 세터(Setter) 메서드
    POJO 클래스는 필드에 접근하기 위한 게터와 세터 메서드를 제공하여 캡슐화를 지향합니다
  3. 직렬화(Serialization) 가능
    POJO는 직렬화를 통해 객체를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4. 테스트 용이성
    POJO는 특정 프레임워크나 환경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단위 테스트에 용이합니다
    테스트 케이스에서 객체를 쉽게 생성하고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5. 가독성 및 유지보수성 향상
    POJO는 간단한 구조로 코드를 작성하므로 가독성이 좋고,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코드 변경이나 업데이트 시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OJO 예제

아래는 간단한 POJO 클래스의 예제입니다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 생성자, 게터, 세터 등 필요한 메서드 추가

    // 기본 생성자
    public Person() {}

    // 매개변수를 받는 생성자
    public Person(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 게터와 세터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this.age = age;
    }
}

 

마무리

POJO는 자바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인 코드를 작성하는 데에 필수적입니다

POJO를 적절히 활용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며 자바 개발에서 더 나은 프로그래밍 경험을 만들어나갈 수 있습니다!

@PathVariable

Command 객체 외에 해당 Controller 메서드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View 측에서 전송한 경우

> 요청 경로에 보냄

View 측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Controller 메서드에서 받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 메서드 인자에서 받음

'-- 기타 -- > IT KOREA 국비 지원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니 프로젝트] UP & DOWN 게임 만들기  (0) 2024.05.04
Spring boot  (0) 2024.03.07
day067  (0) 2024.03.07
QnA  (0) 2024.03.06
[Spring] 자체 프레임워크로 이관  (0) 2024.03.05

+ Recent posts